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위 도메인 가비아로 매칭하기

by 고요한 꼬방스 2025. 3. 28.
반응형

하위 도메인 매칭하기
하위 도메인 매칭하기

 

안녕하세요!~ 꼬방스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애드센스 승인을 받은 분들은 자연스럽게 티스토리 계정을 통해 만들 수 있는 추가 블로그에 가비아 하위 도메인을 연결하고자 하실 겁니다. 이렇게 활용하는 주된 이유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블로그를 전문성이 갖춰진 방향으로 수익화를 수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검색 엔진을 통한 검색 순위가 상승하여, 노출의 기회가 더 많아지게 되고, 특정 주제에 맞는 광고를 배치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하위 도메인(서브도메인)의 특성 때문인데, 보다 자세한 내용은 포스팅해 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도메인? 서브 도메인(하위 도메인)? 활용과 장점)

 

바로 본론으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티스토리는 1 계정을 통해 최대 5개의 블로그를 만들어 운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핵심이 되는 블로그가 '메인 블로그'라 지칭을 하겠습니다. 가비아 도메인은 메인 블로그에 연결을 해 두었고, 애드센스 승인까지 받으셨을 겁니다. 이제 그다음으로 하위 도메인을 만들어 나머지 블로그들에 연결하는 과정이 남았습니다.

 

하위 도메인 설정 방법

1)  가비아 홈페이지에 접속을 해 주세요. 

 

2) 로그인은 필수입니다.~ 

가비아 로그인
가비아 홈페이지 접속 후 로그인 클릭

 

3) 로그인을 하였다면 MY가비아 버튼 클릭을 해 주세요.

MY 가비아 클릭
MY가비아 클릭

 

4) 이용 중인 서비스에서 DNS관리툴 버튼 클릭!

DNS관리툴 버튼 클릭
DNS관리툴 버튼 클릭

 

5) 우측에 있는 설정 버튼 클릭을 해 주세요.

저는 가비아 도메인이 단 하나뿐이라 바로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되었습니다.

만일, 다른 경우는 체크박스 하시고 설정 누르시면 됩니다.

설정 버튼 클릭
설정 버튼 클릭

 

6) 레코드 수정 버튼 클릭 해 주세요. 

 

레코드 수정 버튼 클릭
레코드 수정 버튼 클릭

 

7) 팝업 창이 하나 뜨고, 왼쪽 하단에 레코드 추가 버튼 클릭 해 주세요.

레코드 추가 버튼 클릭
레코드 추가 버튼 클릭

 

8) 새롭게 하위 도메인 만들기 위한 설정이  생성됩니다. 이제 이곳에 설정을 해 주어야 합니다.

집중해 주세요~

 

9) 먼저, 타입을 A ▶ CNAME로 바꿔줍니다. 

이렇게 바꿔주는 이유는 CNAME 가 여러 하위 도메인을 동일한 IP주소로 연결을 해 주기 때문입니다.

 

타입 바꾸기
A 타입에서 'CNAME' 로 바꾸기

 

A 옆에 있는 'v'를 누르시면 'CNAME'가 세 번째에 나옵니다. 선택해서 변경해 주세요.

 

10) 이제 새롭게 만들 하위 도메인의 이름을 만들어 주는 과정입니다. 

 

하위 도메인 이름입력하기
하위 도메인 이름 입력하기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는 도메인 앞에 특별히 부여하고 싶은 이름이나 카테고리가 있다면 입력을 해 주세요~

예를 들어, itblog.example.com을 살펴보면, 처음 도메인 생성은 example.com(혹은 co.kr)이 될 겁니다. 지금 설정하는 것은 메인 도메인에서 하위 도메인을 만드는 과정으로 메인 도메인 앞에 이름을 하나 더 넣어주는 형식이 됩니다. 이때 사용하는 도메인 이름은 영문자, 숫자, 하이픈을 사용할 수 있고, 하이픈은 첫 글자나 마지막 글자에 위치할 수 없으며, 다른 특수 문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 it-blog2.example.com 

 

11) 다음으로 TTL 설정입니다.   

1800으로 변경입력
1800으로 변경 입력

 

기존에 선 입력 되어 있는 600 값을  ▶ 1800으로 변경해 주세요.

 

12) 이제 값/위치에 직접 입력을 해야 합니다.

 

값/위치 입력하기
값/위치 입력 하기

 

!!!!!주의 반드시     

host.tistory.io.    ◀그대로 입력해 주세요. 하나라도 틀리면 안 됩니다.  

 

입력을 마무리하셨다면, 이쯤에서 앞서 기록해 두었던 하위 도메인 이름을 드래그해서 저장을 해 두면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메인 도메인 이름만을 드래그해서 ctrl + c 로 저장해 두고 하위 도메인 이름은 따로 기록해 두어 사용하였습니다.)

 

13) 정확하게 오타 혹은 빠진 것 없이 입력을 마치면 왼쪽에 있는 확인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확인 버튼 클릭
확인 버튼 클릭

 만일, 확인 버튼을 누르지 않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팝업창이 뜹니다. 

 

안내 팝업 창
안내 팝업 창

잘못 된것은 아니니 DNS 설정 옆에 있는 확인 버튼 꼭 다시 클릭 해 줍니다.

 

14) 이제 가비아에서 하위 도메인을 만들고 설정하는 것은 마쳤습니다.

이제 티스토리 블로그로 이동을 하여 설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티스토리 이동
티스토리 이동

 

15) 로그인은 꼭 하시고 진행해야 합니다.

종 옆에 있는 관리버튼을 클릭하고, 하위 도메인을 연결할 블로그를 선택해 주세요.

관리 모드 설정 창
관리 모드 설정 창

 

저는 맨 아래에 있는 블로그를 선택하였습니다. 

 

16) 하위 도메인 주소를 입력할 블로그의 왼쪽 하단의 관리블로그를 선택합니다. 

하위 도메인 설정 입력 창
하위 도메인 설정 입력 창

 

화면 중간 정도로 마우스 스크롤을 내려보시면 '개인 도메인 설정' 창이 나오고,

우측에 있는 도메인 연결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17) 꿀팁으로 저장해 두었던 하위 도메인 이름을 붙여 넣기 합니다.

(저는 메인 도메인을 저장해 두고, 하위 도메인 이름은 종이에 기록해 두고 직접 입력한 후 붙여 넣기를 사용했습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오타를 줄익도 싶었습니다.)

 

하위 도메인 이름 기록 하기
하위 도메인 이름 기록 하기

 

가비아에서 만들어 두었던 하위 도메인과 이름을 동일하게 기록하였다면 우측의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눌러줍니다.

 

18) 자동으로 아래와 같이 확인 완료라는 글자가 뜹니다. 

 

확인 완료 확인 창
확인 완료 확인 창

 

이제 기다리기만 하면 됩니다.

1). 하위 도메인을 가비아 사이트에서 만들어 설정한 후

2). 티스토리 블로그에 하위 도메인 설정까지 마쳤습니다.

3). 확인 완료라는 글자 아래에 보안 접속 인증서 부분은 약 2시간에서 24시간 정도가 지나면 발급 완료라는 글자가 나오게 됩니다.

DNS 설정이 즉시 반영 되지 않더라도 기다리시면 알아서 됩니다. 

 

하위 도메인 연결이 잘 연동되었는지를 확인하시고자 하는 분들은 아래 사진과 같이

1).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모드에서

2). 해당 블로그의 왼쪽 상단에

3). 하위 도메인 이름이 나오는 데 그 이름을 클릭하시면 새롭게 창이 열리며 활성화됩니다.

 

정상적으로 잘 나타나면 끝이 난 겁니다.

축하드립니다!! 결국 해내셨군요 ^^~

 

연결 확인 1연결 확인 2

 

 

DNS 설정과 티스토리 도메인 연결과정이 정확히 되면 원하시는 바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앞서 서두에 말씀을 드렸다시피 하위 도메인을 연결하는 주된 이유는

  • 블로그의 전문성을 높이고,
  • 이미지를 강화하여 수익화하기 위한 적정성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 더불어 HTTPS를 활용하는 것이기에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게 됩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익형 블로그를 만들어 가는 여러분 모두 파이팅입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