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전세 자금 대출 한눈에 정리! 금리·조건·신청방법 완벽 가이드
2025년, 전세 계약 앞두고 전세자금대출 고민하는 분들 많으시죠? 저렴한 저금리의 대출이 무엇이 있을까?
이 글 하나면 대출 한도부터 금리, 신청 자격까지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놓치지 마세요.
📊 2025 전세자금대출 한도 & 대출 금리 현황
상품 종류 | 대출 한도 | 대출 금리 | 상환방법 |
버팀목 전세 자금 대출 | 최대 8천만 원 (수도권 1.2억 원) | 2.5% ~ 3.5% | 일시상환 또는 혼합상환 |
신혼부부 전세 자금 대출 | 최대 2억 원 (수도권 3억) | 1.9% ~ 3.3% | 동일 |
청년 전세 자금 대출 | 최대 1억 원 | 2.0% ~ 3.3% | 동일 |
버팀목 전세 자금 대출
근로자 및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전세자금을 대출합니다.
대출 대상 :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순자산가액 3.37억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대출 금리 : 연 2.5% ~ 3.5 %
대출 한도 : 수도권 외 8천만 원, 수도권 1.2억 원
대출 기간 :2년 (4회 연장, 최장 10년 이용 가능)
신혼부부 전세 자금 대출
전세자금이 부족한 신혼부부에게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을 대출합니다.
대출 대상 : 부부합산 연소득 7.5천만원 이하, 순자산가액 3.37억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신혼부부(혼인기간 7년 이내 또는 3개월이내 결혼예정자)
대출 금리 : 연 1.9% ~ 3.3 %
대출 한도 : 수도권 3억 원, 수도권 외 2억 원 이내(임차보증금의 80% 이내)
대출 기간 : 2년 (4회 연장, 최장 10년 이용 가능)
청년 전용 버팀목전세 자금 대출
전세자금이 부족한 청년들에게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을 대출합니다.
대출 대상 :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순자산가액 3.37억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예비세대주 포함)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의 세대주(예비세대주 포함)
대출 금리 : 연 2.2% ~ 3.3 %
대출 한도 : 최대 2억 원 이내 (임차보증금의 80% 이내)
대출 기간 : 최초 2년 (4회 연장, 최장 10년 이용 가능)
📑 신청 자격 조건 요약
✔ 만 19세 이상 세대주 (청년전용은 만 34세 이하의 세대주)
✔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청년/신혼부부는 7천만 원)
✔ 보증금 2억 원 이하 주택 (수도권은 3억 원)
✔ 임대인계좌에 입금함을 원칙
👉 신용점수 600점 이상이면 신청 가능(단, 세부 점수는 꼭 상담을 통해 확인 필수!)
📌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 기금e든든 홈페이지에서 신청 (로그인 필수)
- 신혼·청년 전세대출 → 은행 앱 또는 영업점
방문 신청 시 지참 서류
-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전세계약서
- 소득증빙자료
📌 2025 전세대출 꿀팁
✅ 신탁등기 여부 및 소유권 확인
✅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 대출 신청자격 요건을 충족 여부
✅ 대출 상품은 어떤 것을 활용해야하는지 여부
✅ 대출 한도 및 만기 연장 조건
✅ 임대인 동의 여부
✅ 상담 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지
✅ 대출 실행일 금리 적용 → 실행일 기준 금리 꼭 체크
✅ 2개 이상 상품 비교는 필수!
📌 마무리
✅ 전세보증보험은 꼭 하세요!
전세보증보험은 임대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할 때 보증기관(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서울보증보험)이 대신 반환해주는 제도입니다. 제도 보험료는 대출금액의 0.1% ~ 0.2% 수준이며, 상품 및 은행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 확정일자와 전입신고 필수 입니다!
전세자금대출 진행 시 전입신고를 꼭 하셔서 확정일자가 찍힌 전세계약서가 필요합니다.
그래야 법적으로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잘 준비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내가 사는 집을 준비함에 있어서 소홀히 여길 것은 없겠죠!!
전세대출, 막막하게만 느껴졌다면 지금 바로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한도도 확인해 보세요.
조건만 맞으면 부담 없는 금리로 전세금 안전하게 마련 가능!